닫기
MY MENU
홈
로그인
회원가입
납부내역
제휴문의
사이트맵
Contact Us
관리자
English
학회소개
back
학회소개
한국문화사회학회는…
조직 및 위원회
정관 및 규정
학술대회/행사
back
학술대회/행사
학술행사안내
회원서비스
back
회원서비스
회원가입 및 회비납부 안내
웹회원가입
회원정보수정
개인정보취급방침
학회소식
back
학회소식
공지사항
학회게시판
회원 책소개
방명록
학술지/투고
back
학술지/투고
<문화와사회>소개
원고 제출 및 게재 절차
원고 작성 요강
연구윤리 규정
편집회의실
논문검색
논문열람
자료실
back
자료실
월례발표회
학회사진관
학회회의실
총서기획실
MY MENU
BASKET
MENU
홈
로그인
회원가입
납부내역
제휴문의
사이트맵
Contact Us
관리자
English
MENU
학회소개
한국문화사회학회는…
조직 및 위원회
정관 및 규정
학술대회/행사
학술행사안내
회원서비스
회원가입 및 회비납부 안내
웹회원가입
회원정보수정
개인정보취급방침
학회소식
공지사항
학회게시판
회원 책소개
방명록
학술지/투고
<문화와사회>소개
원고 제출 및 게재 절차
원고 작성 요강
연구윤리 규정
편집회의실
논문검색
논문열람
자료실
월례발표회
학회사진관
학회회의실
총서기획실
학회소식
공지사항
학회게시판
회원 책소개
방명록
HOME
학회소식
회원 책소개
회원 책소개
제목
내용
작성자
제목+내용
검색
공지
66
제니퍼 실바 2020 <커밍 업 쇼트: 불확실한 시대 성인이 되지 못하는 청년들 이야기> (문현아, 박준규 역)
관리자
2020.11.25
제니퍼 M. 실바 (지은이),문현아,박준규 (옮긴이)리시올2020-10-10원제 : Coming up Short: Working-Class Adulthood in an Age of Uncertainty 저자: 제니퍼 M. 실바 (Jennifer M. Silva) 인디애나 대학교의 ‘폴 오닐 공공 및
공지
65
신동일 2020 <앵무새 살리기: 더 좋은 언어사회를 희망하며>
관리자
2020.11.25
저자: 신동일중앙대학교 영어영문학과 교수. 차별적 경험, 부적절한 관행이 언어능력과 언어사용의 의미에 어떻게 개입하는지 탐구하며, 언어/영어/한국어에 관한 문제적 상황을 개별적인 결핍만이 아닌 사회구조적 관점으로 이해하고자 한다. 언어/사회, 담화/담론, 언어평가/정책/교육, 언어권리/정체성에 관한 연구에 자유, 차이와 다양성, 횡단, 도시공간, 생태, 실
공지
64
천선영 2020 <기꺼이 이방인: 어느 사회학자의 여름 대관령 일기>
관리자
2020.11.25
미리보기 전자책으로 미리 읽기저자: 천선영 ‘패션의 완성은 모자’라 우기며 모자를 즐겨 씁니다. 음식을 시킬 때는 하나씩 순서대로 나오도록 정중히 요청해 식지 않은 요리를 맛보고 즐기기를 좋아하고요. 대학에서 학생들에게 ‘관점의 학문’인 사회학을 가르치지만 강의 목표를 ‘걷기’로 제시하는 조금은 수상한 교수님이기도 합니다. 숲의
공지
63
김광기 2020 <아메리칸 엔드 게임: 지금 반드시 읽어야 할 미국>
관리자
2020.11.24
미리보기저자: 김광기경북대학교 사범대 일반사회교육과 교수. 성균관대 사회학과를 나와 미국 보스턴 대학교에서 사회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인간과 사회에 주도면밀한 관심을 가지고 이론과 현실을 접목한 비판적 글쓰기를 통해 대중과도 소통하려 애쓰는 사회학자다. 전공은 현대사회학 이론과 근대성, 지식사회학, 현상학 등이며 인간을 이방인으로 규정한 자신만의
공지
62
이창남 2020 <도시와 산책자: 파리, 베를린, 경성을 거닐다>
김주환
2020.11.24
저자: 이창남경북대학교 독어독문학과 교수. 연세대학교 독어독문학과와 같은 대학원을 졸업하고, 베를린 자유대학 비교문학과에서 낭만주의와 발터 벤야민의 비평이론에 관한 논문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부산대 한국민족문화연구소 전임연구원, 한양대 비교역사문화연구소 교수를 거쳐 현재 경북대에 재직하고 있다. 프랑크푸르트 사회연구소 연구펠로우, 영국 랭커스터
공지
61
종교와 테러리즘 (제임스 루이스 엮음 / 하홍규 옮김)
관리자
2020.07.02
제목: 종교와 테러리즘 엮은이: 제임스 루이스 옮긴이: 하홍규 한울아카데미책소개2001년 9월 11일 알카에다가 납치한 여객기가 세계무역센터와 충돌한 이후 테러리즘과 종교의 관계는 특히 격렬하게 논의되어 왔지만, 지난 20년 가까운 기간 동안 제대로 된 답을 찾지는 못한 듯하다. 종교의 이름으로 폭력을 자행하는 테러리스트
공지
60
<현대사회이론의 모든 것 > 앤서니 엘리엇 지음, 김봉석, 박치현 옮김(2020)
관리자
2020.06.11
책소개현대사회이론 분야에 대한 읽기 쉽고 포괄적이며 비판적인 개설서를 만들고자 했다. 현대사회이론에 관한 적절한 설명을 제공하고자 프랑크푸르트학파, 포스트모더니즘, 구조주의, 포스트페미니즘 등 주된 사상적 전통 대부분을 다루고자 애썼다. 뿐만 아니라 최근에 일어난 최신 발전 흐름을 개괄하려 했다. 그러다 보니 지구화 및 전지구적 전자경제, 포스트모더니즘,
공지
59
<자신을 방어하기> 엘자 도를랑 지음, 윤김지영 옮김 (2020)
김봉석
2020.02.14
미니즘의 새로운 혁명 윤리,“폭력”은 우리를 주체로 만든다!모든 폭력은 정당화될 수 없는가? 사회를 바꾸기 위해서는 비폭력만이 유일한 해답일까? 페미니스트 철학자 엘자 도를랑의 『자신을 방어하기: 소수자들, 빼앗긴 폭력을 되찾다』는 폭력에 대한 우리의 통념을 향해 도발적인 질문을 던진다. 엘자 도를랑은 『인종의 매트릭스: 프랑스 국민의 식민주의적
공지
58
<공연의 사회학: 한국사회는 어떻게 자아성찰을 하는가> / 최종렬 (2019)
첨부파일
김봉석
2019.07.03
사회적 공연론을 통해 분석한 한국사회의 네 가지 자아성찰 《복학왕의 사회학: 지방 청년들의 우짖는 소리》로 화제를 불러일으킨 최종렬 교수의 신간 《공연의 사회학》은 ‘사회적 공연론’을 통해 한국사회를 지배하고 있는 문화구조를 파헤치는 책이다. 특히 한국사회가 집합의례를 통해 수행한 네 가지 자아성찰을 다룬다. 민주주의, 성장주의, 민족주의, 젠더
공지
57
<질적 연구자 좌충 우돌기: 실패담으로 파고드는 질적 연구 이모저모> 한국문화사회학회 기획
첨부파일
오지현
2018.10.01
_ 연구 현장 속 좌충우돌기로 들여다보는, 이론이 다 담을 수 없던 질적 연구의 세계‘질적 연구’의 장에서 치열하게 자신의 연구를 진행해온 열 명의 저자들이 연구 현장에서 겪은 좌충우돌을 바탕으로 질적 연구 방법론을 소개하는 책이다.양적 연구를 주로 해오던 연구자가 질적 연구를 시작할 때 겪는 어려움, 연구 과정에서 연구 참여자와 상호작용하며 여
공지
56
<사회학의 핵심 개념들> 기든스, 서튼 / 김봉석 옮김
첨부파일
오지현
2018.10.01
사회학 최고의 석학 앤서니 기든스, 현대사회학의 지도를 새로이 그리다 우리 사회를 이해할 중요한 이정표, 최신 내용으로 개정되다사회학 최고의 권위자인 앤서니 기든스와 필립 W. 서튼의 대표 저작, 《사회학의 핵심 개념들》이 개정증보판으로 다시 나왔다. 격변하는 사회를 이해하기 위한 학문인 만큼 사회학은 시간의 흐름과 더불어 끊임없이 재평
공지
55
<문화사회학으로 바라본 한국의 세대연대기: 세대 간 문화 경험과 문화 갈등의 자화상> 최샛별(2018)
첨부파일
오지현
2018.10.01
흙수저, 욜로족, 개저씨, 노인충 … 시간과 장소를 막론하고 같은 시대를 살아가는 사람들 사이에서 특정한 연령대 혹은 문화권에 속한 이들을 라벨링하는 신조어들은 끊임없이 생산·공유되어 공론화된다. 특히 지난 반세기 동안 커다랗고 굵직한 변화의 한가운데를 빠르게 가로질러온 한국 사회에서 이러한 경향은 더욱 두드러져 왔다. 이질적인 삶의 경험이 야기한
공지
54
<복학왕의 사회학: 지방 청년들의 우짖는 소리> 최종렬(2018)
첨부파일
오지현
2018.10.01
지방대생의 현실을 담은 지방 보고서!『복학왕의 사회학』은 청년 담론의 사각지대에 놓인 지방대생의 이야기를 전하며 왜 한국 사회는 지방대생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지 않는지, 왜 지금의 청년 담론은 수도권 중심인지 날카롭게 지적해 2017년 초여름 학계를 뜨겁게 달군 논문으로, 학술지식 플랫폼 DBpia에서 사회학 분야 논문 이용 상위 1%를 기록하기도 했다.&
공지
53
<문화사회학의 관점에서 본 질적연구방법론> 한국문화사회학회 기획(2018)
김봉석
2018.03.26
한국의 문화사회학자들이 현장에서 직접 길어 올린, 질적 연구방법론 사람과 일상이 생생하게 살아 숨 쉬는 사회학 연구를 만나다! 현재 한국 사회에서 사회학자의 입지는 매우 초라하다. 뜬구름 잡는 큰 이야기는 잘 하는 것 같은데, 일상의 세목에 들어가면 무지가 바로 드러난다. 통계치를 가지고 세상의 큰 흐름을 짚어 내는 것 같은데, 그것의 문화적 의
공지
52
<군자들의 행진>, 이황직(2017)
첨부파일
신지은
2017.04.25
책소개그동안 망각되었던 해방 정국의 유교계의 동향을 최초로 복원하여, 구한말 의병전쟁부터 1960년대 민주화운동까지 면면히 이어진 유교 정치 이상의 연속성과 역동성을 보여준다. 지은이는 사료 발굴을 바탕으로 해방 정국의 좌우 유교 단체 참여자 조사와 분석 작업을 수행하여 유교 정치운동사의 연속성을 입증하고 있다.이 책의 제목인 '군자들의 행진'은 마이클 왈
더보기
내용이 없습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