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실         학회회의실

해외 석학 초청 포럼 포스터에 들어갈 내용 정리본

작성자 : 관리자
조회수 : 659

박선웅 선생님, 최종렬 선생님과 실시간 대화를 통하여 (어떻게 실시간 대화를 했는지는 묻지 마십시오...ㅠㅠ) 완성한 포스터 내용 정리본입니다. 다들 보시고 내일 오전 12시 전까지 댓글 부탁드립니다. (이걸로 보기 힘드시면 첨부 화일 열어보시면 됩니다. 첨부 화일 열어보시면 문단 형식이나 폰트 등 더 자세하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한국문화사회학회 해외 석학 초청 포럼
제프리 알렉산더의 문화사회학
Strong Program in Cultural Sociology

일시: 2008년 6월 27일 2시 30분
장소: 서강대학교 _______________
주최: 한국문화사회학회
후원: 서강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이화여자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Jeffrey C. Alexander (예일대학교 석좌교수)
권력과 공연: 테러 전쟁의 성과 속 (Power and Performance: The 'War on Terror' between the Sacred and the Profane)

대표 저서:
『사회적 삶의 의미: 문화사회학 (The Meanings of Social Life: A Cultural Sociology)』(2007)
『Civil Sphere』(2006)
주요 관심 영역: 사회학 이론, 시민사회, 트라우마, 퍼포먼스

Philip Smith (예일대학교 사회학과 교수)
의미와 군사력: 푸코를 넘어서 (Meaning and Military Power: Moving on From Foucault)

대표 저서:
『문화이론: 사회학적 접근 (Cultural Theory)』(2008)
『Why War? : The Cultural Logic of Iraq, the Gulf War, and Suez』(2005)
주요 관심 영역: 전쟁, 일탈, 사회학 이론

Ronald N. Jacobs (뉴욕주립대학교 사회학과 교수)
전지구적 공론장으로서의 미국 텔레비전 (American Television as a Global Public Sphere)

대표 저서:
『Race, Media and the Crisis of Civil Society: From Watts to Rodney King』(2000)
주요 관심 영역: 미디어, 시민사회, 인종

“모든 행위는 아무리 도구적이고 성찰적이고 또는 외적 환경에 의해 강압된다 하더라도 어느 정도는 정서와 의미의 지평 안에 배태되어 있다....제도가 아무리 비인격적이고 기술관료적이라 할지라도 관념적 토대를 가진다. (제프리 알렉산더,『사회적 삶의 의미: 문화사회학』, 39쪽)

 첨부파일
한국문화사회학회_해외_석학_초청_포럼.doc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