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학회 최종렬 교수님께서 <사회학, 확실성 추구와의 투쟁>을 출간하셨습니다. 사회학 발전 과정의 중요한 장면들을 긴 호흡으로 살펴보는 귀중한 저작입니다. 아래 책소개와 목차를 참고하시어 읽어보시고 주변에도 알려주시기 바랍니다.
책소개와 목차는 아래와 같습니다.
책소개
상대성 이론이 나온 이후 절대적 시공간 개념이 사라지고 모든 시공간이 상대적으로 변해버렸다. 이제 시공간에 대해 말하려면 먼저 특정한 준거 프레임(reference frame)을 짜고, 이를 통해 시공간에 대해 말해야 한다. 준거 프레임을 짜는 것이 절대적으로 중요해진 시대인 것이다. 사회학 역사를 쓸 때도 마찬가지다. 준거 프레임에 따라 다양한 사회학 역사가 나올 수 있다.
지식의 패러다임을 과학, 도덕학, 미학으로 재구성하고, 세 패러다임의 역학을 통해 사회학의 발전과정을 분석적으로 살펴보는 책이다. 이러한 분석적 이야기는 결코 ‘총체적’ 이야기가 아니며, 특정한 분석적 관점에서 말하는 ‘부분적’ 이야기다. 서구의 지식사에 관한 많은 이야기가 존재할 수 있다. 저자가 들려주는 이야기는 과학, 도덕학, 미학의 관계를 통해 서구의 지식사를 분석적으로 재구성한 ‘하나의’ 이야기일 뿐이다. 그 이야기를 얼마나 설득력 있게 들려주었느냐 하는 것은 또 다른 문제일 것이다.
목차
CHAPTER 01 과학, 도덕학, 미학 16
고대 그리스 사상: 과학, 도덕학, 미학의 원형 17
경헙과학의 원형으로서의 원자론자 19
도덕학의 원형으로서의 프로타고라스 24
미학의 원형으로서의 고르기아스 29
이론과학 36
중세: 이론과학의 지배 53
아우구스티누스: 기독교화된 플라톤주의 55
토마스 아퀴나스: 기독교화된 아리스토텔레스주의 62
르네상스 휴머니즘: 도덕학의 회복 67
CHAPTER 02 계몽주의, 대항계몽주의, 반계몽주의 76
과학으로서의 계몽주의 84
이론과학으로서의 합리주의적 계몽주의 86
경험과학으로서의 경험주의적 계몽주의 99
도덕학으로서의 대항계몽주의 108
미학으로서의 반계몽주의 119
CHAPTER 03 고전 유럽사회학과 도덕학 129
19세기 유럽 지성계에 대한 조망 130
이론과학: 합리주의적 계몽주의 전통 132
실증주의적 유기체론 133
헤겔적 본질주의 141
경험과학: 경험주의적 계몽주의 전통 145
도덕학: 대항계몽주의적 전통 152
미학: 반계몽주의적 전통 165
CHAPTER 04 모던 미국사회학과 과학 205
첫 시기(1880년대 ~ 1915/1918) 207
두 번째 시기(1915/1918 ~ 1945/1950) 214
세 번째 시기(1945 ~ 1960년대 초반) 220
네 번째 시기(1960년대 초반 ~ 1980년대 초반) 227
과학의 승리 238
CHAPTER 05 한국사회학과 미학 247
과학적 설명의 빈곤 247
확실성 추구의 대가 269
서사적 설명 281
미학으로서의 서사 사회학 310
도움받은 글 324
찾아보기 3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