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문화사회학회 회원님들께서 다수 참여한 책이 출간되어 소개드립니다.
책 제목은 <탈사회의 사회학>입니다.
아래 책 소개를 참조해주시기 바랍니다.
책소개
나비사회연구총서 01
탈사회의 사회학
김문조 외 지음, 파주: 한울아카데미, 2022
책 소개
이 책은 오늘날 한국사회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는 탈사회 현상을 집중적으로 탐구한다. 이 책의 저자들은 탈사회의 대표적인 현상으로 혼술 유행, 나 홀로 스포츠 관람 증가, 데이트앱 진화, 인공지능 발달, 플랫폼 노동자 증가, 고독사 등에 각각 주목한다. 기존의 사회학에서는 이러한 현상을 개별화, 파편화, 소외 등의 개념으로 분석했다. 하지만 이 책에서는 이러한 현상을 사회구조적 압력에 의한 고립이나 배제만으로 설명할 수 없으며 여기에는 적극적인 ‘개인화’의 의미가 함축되어 있다고 본다. 이 책은 오늘날의 탈사회 현상이 파편화와 개인화의 변증법적 산물이라는 인식하에 여러 사회학자가 다양한 분야의 탈사회 현상을 연구·분석한 결과물이다.
이 책은 ‘사회이론학교: 나비’에서 출간하는 ‘나비사회연구총서’의 첫 책으로, 점점 탈사회화되는 한국사회에서 새로운 사회질서를 찾아내고 이를 설명하는 이론을 제시하려는 사회학자들의 고민과 노력을 담고 있다.
“우리가 이 첫 책에서 주제로 삼은 것은 우리 사회의 ‘탈사회적’ 현상을 사회학적으로 진단하는 것이었다. 이 주제를 제일 먼저 선택한 까닭은 사회이론을 발흥시켰던 근대사회로의 이행기에서와 유사한 현상들 – 겉으로 보기에 기존 사회의 틀을 이탈하거나 심지어는 깨는 듯이 보이는 현상들 – 이 오늘날 더욱 고도화된 형태로 발현하고 있기 때문이었다.” - 발간사 중에서
차례
서문 홀로 시대의 탈사회 시나리오 - 김문조
제1부 술, 스포츠, 사랑
제1장 혼술의 감정 동학: 탈사회 시대의 하나의 취향? - 박형신
제2장 ‘나 홀로 스포츠 관람’은 ‘탈사회적’인가 - 김봉석
제3장 탈사회적 로맨스와 친밀한 시시포스: 플랫폼 짝짓기의 논리와 역설 - 정수남
제2부 청년과 노동
제4장 탈사회화의 시대, 개별화된 청년들의 삶의 감각과 정념의 정치 - 김주환
제5장 탈노동적 노동의 현실: 플랫폼 자본주의 시대의 노동자상 - 김영선
제3부 예술, 죽음, 종교
제6장 탈사회적 전환과 예술: 인공지능 예술을 중심으로 - 김남옥
제7장 고독사, 한국사회의 위기와 죽음의 탈사회화 - 권오헌
제8장 탈사회적 사회의 종교: 자기만의 신, 신으로서의 개인 - 하홍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