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회소식         회원 책소개

<군자들의 행진>, 이황직(2017)

작성자 : 관리자
조회수 : 739


책소개

그동안 망각되었던 해방 정국의 유교계의 동향을 최초로 복원하여, 구한말 의병전쟁부터 1960년대 민주화운동까지 면면히 이어진 유교 정치 이상의 연속성과 역동성을 보여준다. 지은이는 사료 발굴을 바탕으로 해방 정국의 좌우 유교 단체 참여자 조사와 분석 작업을 수행하여 유교 정치운동사의 연속성을 입증하고 있다.

이 책의 제목인 '군자들의 행진'은 마이클 왈쩌가 청교도주의를 17세기 영국 시민혁명을 이끈 급진 정치학의 기원으로 분석한 저술인 <성자들의 혁명>에 대응한 것으로, 유교 이상과 유교인의 분투가 한국 근현대 정치에 미친 영향을 강조하고자 붙여졌다.

유교인들이 엄혹했던 식민지 시기와 혼란으로 점철되었던 해방 정국 그리고 부정으로 얼룩졌던 독재정권 기간을 견뎌내고 저항했던 힘은 유교의 정치 이상을 실천하고자 하는 의무감, 곧 세속의 고난을 초월하여 천명으로서 정치적 올바름을 추구해야 한다는 '군자'의 이상에서 연원했다.

유교사 및 근현대사 서술에서 망각되었던 군자들의 행적을 복원한 이 책은, 유교가 어떻게 근대 정치 이념에 적응해 갔는가에 대한 해명이면서 동시에 유교 정치 이상과 유교인의 행위가 한국의 민주화에 기여했다는 주장에 대한 역사적 논증이다.


목차

1부 유교와 근대 정치

1장 교수단 데모의 유교적 설명

2장 유교 정치운동사 연구의 방법, 개념, 함의

1. 유교사 연구의 방법

2. 연구 설계와 주요 개념

3. 연구 주제와 함의

4. 연구 대상으로서의 유교: 정의

 

2부 민족의 위기와 유교인의 대응

3장 유교 전통과 조선의 위기

1. 조선 유교의 역사와 정치적 성격

2. 유교 주도 근대화의 전개와 결말

3. 정통 유림의 종교적 대결 의식과 의병운동

4. 유교 민족주의의 두 갈래

4장 일제하 유교계의 독립운동

1. 일제의 지배 논리와 유교계의 상황

2. 파리장서운동의 전개 과정과 성격

3. 정인보: 유교 개혁주의의 완성과 조선학

 

3부 해방 후 유교인의 건국운동과 통일운동

5장 해방 직후의 유교 단체와 통합 과정

1. 해방 전후 유교계의 상황

2. 해방 직후 등장한 유교 계열 단체: 개요

3. 유교 단체 통합과 신탁통치반대운동

6장 유도회의 유교 부흥과 임시정부봉대 활동

1. 유도회의 유교 부흥 활동과 갈등

2. 유도회 참여 세력 분석

3. 유교와 아나키즘의 연합: 유도회의 임시정부봉대운동

7장 유교계 좌파의 통일국가건설운동과 좌절

1. 대동회: 유교계 중도좌파의 통일운동

2. 전국유교연맹: 좌파 유교 단체

 

4부 유교인의 반독재·민주화운동

8장 유교 정치의 모색과 독재정권의 탄압

1. 해방 이후 유교 계열 지식인의 상황

2. 유교계의 시련

9장 마지막 불꽃: 유교와 4·19 혁명

1. 유교 계열 반독재 투쟁의 노선들

2. 4·19 혁명과 유교 계열 지식인의 참여

3. 군자들의 행진: 교수단 데모의 유교적 의미 세계

10장 유교에서 한학으로: 유교 정치의 종장

1. 4·19의 여운: 1960년대 유교계의 비판적 정치 참여

2. 유교 정치의 내면화: 1970년대 전후의 유교

3. 유교 보수화와 현대 유교의 위기

 

5부 반성과 전망

11장 군자의 정치학과 한국 민주주의

1. 근현대 유교 정치운동사 요약

2. 논쟁: 유교와 민주주의

3. 유교민주주의에서 유교 시민사회

 

후기

도움 받은 글

주석

찾아보기

 

 

 


 첨부파일
군자들의행진.jpg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