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을 열며 7
생활예술 - 삶을 바꾸는 예술, 예술을 바꾸는 삶
강윤주 | 강은경 | 박승현 | 심보선 | 유상진 | 임승관 | 전수환 (지은이) | 살림 | 2017-03-25
책소개 |
2014년 생겨난 ‘옥수바람’이라는 이름으로 생활예술을 공부하는 모임의 첫 결과물이다. 인천 ‘문화바람’ 같은 생활예술공동체에 대한 공부를 하자는 뜻에서 만들어진 이름이다. ‘옥수바람’의 구성원들은 생활예술에 대한 책을 읽거나 생활예술적 관점으로 새롭게 해석될 수 있는 책들을 읽고 토론하곤 했다. 학자·활동가·행정가 등 서로 다른 배경을 가진 저자들이 모여 토론과 학습을 한 결과물이라는 점에서, 이 책은 이론과 실천을 아우르는 강점이 있다.
생활예술에 대한 담론은 이제 막 형성되고 있다. 그러나 하나로 통합된 이론이나 실천이 필요한 것은 아니다. 오히려 생활예술은 지역에 맞게, 각 주체와 전략에 따라 다양한 면모를 보여왔으며, 앞으로도 그러할 것이다. 이 책은 생활예술의 다양성을 받아들이면서도, 과감한 해석과 제언을 시도했다. 특히 학자·활동가·행정가 등 서로 다른 배경을 가진 각 분야의 전문가들이 모여 생활예술의 이론을 집대성하고 실천을 검토한 국내 최초의 시도다.
따라서 국내외 많은 문화예술종사자 및 문화기획자, 생활예술 지도자, 공연실무자, 예술경영인에게 중요한 시사점을 던지는 이론서이자 지침서가 될 것이다. 또한 생활 속에서 예술을 실현하고 자기 삶을 예술로 가꾸어나가고 있으면서도 ‘아마추어’라는 프레임에 갇혀 있는 수많은 생활예술인이 예술의 당당한 주체로서 자부심을 가지게 하는 근거가 되어줄 것이다.
목차
제1부 생활예술 이해의 필수 아이템
예술의 사회적 가치 16
생활예술의 역사적 배경과 이론적 뒷받침 42
생활예술 개념에 대한 문화사회학적 고찰 84
생활예술과 법 106
국내 생활예술 관련 정책과 사업(~2010) 174
해외 생활예술 현황 분석 196
2부 생활예술의 현장
성남문화재단의 사랑방문화클럽네트워크 246
사랑방문화클럽을 사례로 한 생활예술공동체 유형 나누기 274
생활예술공동체에서의 문화매개자 역할 분석 308
제3부 생활예술적 관점으로 책 읽기
『래디컬 스페이스』 352
『몰입 flow』 360
『소속된다는 것』과 『공유의 비극을 넘어』 374
『그들의 새마을 운동』 394
부록 401
참고문헌 417